지난 여름 폭염이 유례없이 기승을 부렸습니다. 기후 위기를 절실하게 체감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도 자연의 순리대로 가을이 찾아온 것 같습니다.
자연을 통해 주님이 주시는 은총을 풍성히 누리시기를 빕니다.
연구원의 뉴스레터 ‘이음새 편지’가 여덟 번째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이음새 편지’가 연구원과 가족들 그리고 연구원과 사회 및 교회를 이어주는 파랑새가 되어주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원이 한국 사회와 교회의 성숙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분야의 그리스도인 전문가들과 협력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잠깐 짬을 내셔서 연구원의 소식들을 둘러보시고, 연구원을 응원해주시면 더욱 고맙겠습니다.
기독인문학연구원 운영위원회 드림
🏛️ 아카데미 소식
8월 아카데미 활동
1. 8월 정기강좌가 진행중입니다.
모세오경을 유대인식 성서일과에 따라서 원어로 읽고, 신약성서와 연결 지어서 해석하는 강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몇 해 전에 개최된 강의인데 많은 분들의 호평을 받아서 다시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동영상 강의 중에 질문을 받고 마지막 날(9월 9일 토요일)에 강사와 실시간 온라인 질의응답을 진행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고대 근동학과 구약성서를 아우르는 연구 분야의 독보적인 연구자인 윤성덕 박사님이 탐구여정을 안내합니다.
요즈음 이스라엘의 정치 상황이 심상치 않아서 이태 전에 개최된 강의를 다시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이 강의는 유대교 정당과 급진 유대교 원리주의 등 다양한 유대교 운동을 다룹니다. 유대교 상징과 정당이 현대 이스라엘 정치와 사회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주목하고, 다양한 유대교 세력이 이스라엘의 현재와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전망해 봅니다. 이스라엘과 중동 문제 전문가이자 한국이스라엘학회 회장이신 성일광 교수님이 강의하십니다. 온라인 실시간 질의응답은 9월 12일 화요일 저녁에 진행됩니다.
‘8월의만나-특별강연’을 잘 마쳤습니다. 김형주 교수님(중앙대 인문콘텐츠연구소)이 ‘AI 시대, 그리고 기독교’를 주제로 강연해 주셨습니다. 우리 삶 곳곳에서 인공지능이 작동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교회도 무관하지 않습니다. 생성형 AI가 설교문을 작성하고 예배를 인도하는 시대가 예상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기독교인들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기독인 철학자로서 AI와 AI 시대를 연구하는 김형주 교수님이 AI의 본질과 특성을 소개하고, 우리가 가야 할 길과 해야 할 일들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9월 독서토론은 《쇼펜하우어 아포리즘》을 거울삼아서 한국교회의 현재를 성찰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한국교회 내에서 반기독교적인 사상가로 오해된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통해 한국교회가 이데올로기처럼 붙들고 있는 ‘번영’의 허상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9월의만나-독서토론은 9월 11일(월) 저녁 7:30분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시작합니다.
모세오경을 유대인식 성서일과에 따라서 원어로 읽고, 신약성서와 연결 지어서 해석하는 강의가 계속됩니다. 자유롭게 강의 동영상을 시청하고, 마지막 날에 실시간 온라인 질의응답을 진행됩니다. 시즌1에 이어서 시즌2에서 새로운 주제들이 다루어집니다
강좌 2:
영문학 고전 새롭게 읽기
우리에게 익숙한 영문학 고전을 새로운 시각으로 읽는 강의입니다. 고전이 고전이라 불리는 이유는 보편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특수성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독자는 책을 읽을 때 자신의 삶을 투영하게 되고, 경험을 반영하면 이전에 보이지 않던 진실이 나타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이 강의를 통찰의 읽기 혹은 깨달음의 읽기라고 표현하고자 합니다. 자유롭게 강의 동영상을 시청하고, 마지막 날에 실시간 온라인 질의응답을 진행합니다.
우리 연구원이 자랑하는 연구 위원들의 활동 소식을 전합니다. 연구 위원들이 더욱 활발하게 사역하며 우리 사회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하도록 연구원 가족들이 응원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1. 박일준 교수(연구위원) 신간 출간
『동북아 인물전. 동북아를 바꾼 만남과 발자취』(경인문화사, 2023.07)
2. 김응교 교수(연구위원) 신간 출간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마음산책, 2023.08)
『백년 동안의 증언. 간토 대지진, 혐오와 국가 폭력』(책읽는고양이, 2023.09)
3. 윤성덕 박사(연구위원) 역서 출간
『블랙박스』(민음사, 2023.08)
후원을 요청 드립니다
연구원은 40여 명의 연구위원과 12명의 운영위원 및 8명의 실무위원들이 중심이 되어 세 가지 영역에서 연구하고 교육하며 사회에 공헌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연구: 연구 프로젝트,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성찰과 대안 모색을 위한 연구, 강의와 강연 활동 - 아카데미: 정기 강좌, 성서아카데미, 월요만나(독서토론과 특별강연), 북토크 등 - 사회봉사: 지역 주민을 위한 시민인문학과 영화인문학, 교회 인문학, 교도소 교정인문학 등 강좌 진행
연구원이 후원을 요청드립니다. 연구원이 지난 3년간의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도 힘겨웠지만 잘 버텼습니다. 그런데 국내외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상황이 점차 녹록치 않게 되었습니다. 연구원이 주로 후원과 강의 수강료로 운영되고 있는데, 사회 전반적인 위기 상황이 후원자와 수강자들에게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원이 든든히 서고, 소명을 잘 감당하도록 응원해 주시고 정기적으로 후원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후원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으로 강의 수강료 할인과 강의 동영상 제공 등의 다양한 혜택을 드립니다. 그리고 연구원과 연구 위원이 발간한 도서를 해마다 1권씩 증정해 드립니다.
연구원이 후원자들의 자랑거리가 될 수 있도록 운영위원과 실무자들이 배전의 노력으로 연구와 교육 활동 및 사회공헌 사업에 힘쓰며 후원에 보답하겠습니다. 여러분의 후원이 지친 실무자들에게 큰 힘이 되어줄 것입니다.
연구원이 흔들리지 않고 사명을 잘 감당하도록 후원하며 응원해 주세요.
여러분이 뿌려주시는 씨앗과 틔워주시는 새싹이 우리 사회와 교회의 성숙과 발전에 소중한 자원이 됩니다.